본문 바로가기

흘러가는 낙서

12달의 영어이름 기원




1월의 영어 이름은 야누스라는 신의 이름에서 유래. 야누스는 인간의 야성을 잠재우고 인간에게 이성을 부여한 신이라고 하는데 인간의
이성을 강조하는 의미에서 일 년의 첫 달에 그 이름을 붙였다고 전해집니다. 야누스(Janus)는 문(門)을 담당하는 신이기도 하는데 일 년의 문을
여는 것이 1월이니까. 신견과 구년을 구분짓는 1월을 가르킨다는 뜻.  그런데 과거 로마시절 한해의 시작은 1월이 아니라 3월이었음.

2월의 영어 이름은 정결함, 정화 등을 의미하는 Februs(정화의 신은 Febura)에서 기원. 로마에서는 매년 2월을 깨끗한 달로 여기고 죄를
속죄하는 의식 등을 치루며 봄을 맞이했다.

고대 로마에서는 결실의 신인 루페르쿠스(lupercus)를 모시는 제전이 있었다. 이 제전에서 신에게 제사를 지낸 산양의 피를 묻힌 가죽끈이 있었는데 이 가죽끈을 februa(부정을 막는 부적)라고 불렀다. 또 이 가죽을 만지면 아이를 못 낳는 부녀자에게 자식을 낳게 해 주는 신통력이 있다는 믿음이 있었다. 이러한 제전이 있는 달이라고 해서 2월을 Februarius(부정 방지의 달)이라 했고, 여기에서 영어 February가 생겼다.


3월의 영어 이름은 전쟁을 담당하는 軍의 신 겸 農業의 신인 마르스(Mars)에서 유래. 옛 로마 시대에는 봄은 곧 전쟁의 시작을 알렸다. 화창한 봄의 계절에 전쟁의 시작. 한해의 시작이었으나 기원전 2세기경에 달력을 고쳐 1월인 January와 2월인 February를 넣음으로써 March는 3월이 되었다.

4월의 영어 이름은 April의 근원인 라틴 어 Aprils의 어원에 대해서는 확실한 설이 없고 여러가지로 주장되고 있다. 하나는 4월이 초목의 눈이 싹트는 달이므로 라틴 어 Aperire(열리다)에서 나왔다고 한다. Aprilis라는 단어에서 유래. Aprilis는 '열린'이라는 의미를 가진 Apertus에 is라는 형용사 어미가 붙은 단어. 이것은 곧 꽃의 개화를 알리는 의미를 가지게 됨. 꽃이 피는 4월에 이런 이름이 붙게 되었고 꽃처럼 아름다운 여신에게도 같은 어원이 생김. 또 하나는 봄은 사랑의 계절이므로 미의 여신이고 사랑의 여신인 Aphrodite(아프로디테)의 머리 글자 Aphro에서 이 달의 이름이 되었다고 한다. 이 달에는 예수 그리스도가 부활한 날을 기념하는 부활절(Easter)이 있다. 부활절에는 여러 가지 행사가 벌어지며, 곱게 색칠한 달걀을 과자와 함께 숨겨 놓고 아이들이 그것을 찾는 풍습도 있다.

 
5월의 영어 이름은 마이아라는 여신에서 기원. 이 여신은 성장의 신인데, 만물이 자라나는 5월에 잘 어울리고 또한 같은 어원에 기원하는 Maior는 '위대하다'라는 의미. May는 고대 로마 사람들이 달 이름으로 부르던 Maius에서 따 온 것이다. Maius란 말은 성장과 번식의 여신인 Maia에게 드린 달이라는 뜻이다.

6월의 영어 이름은 결혼의 여신 유노(Juno)로부터 기원. 로마신화에서 유노는 그리스신화의 헤라(제우스의 아내)와 같은 인물. 결혼과 여성을 담당하는 여신. 혹은 고대 로마 사람들이 달 이름으로 부르던 Junius에서 온 것이다.  혹은 다른 어원으로 Junius란 말은 고대 로마의 명문 집안인 '유니우스'가에 바쳐져서 이름붙여진 것이다. 유니우스 가의 선조인 '유니우스 브루투스(Junius Brutus)'로서, 그는 기원전 510년 왕정을 폐지하고 자신이 로마의 초대 집정관이 되었다고도한다.


Gaea(대지의신) - Uranos(하늘의신)
; 6 아들 - 오케아스(바다).코이오스(하늘).히페리온(높은곳을 달리는자),크리오슨.
이아페토스<프로메테우스(먼저아는자).에피메테우스(나중에아는).아틀라스>. 크로노스(시간의신)
6 딸 - 테이아, 레아 ,므네모쉬네,포이메, 테튀스, 테미스  출생
그중 크로노스가 레아와 결혼해서 6 남매를 둠
; 하데스 ( 저승신) 포세이돈( 바아신) 헤스티아( 부엌신) 데메테르(곡식신) 헤라 ( 제우스의 아내 ), 제우스

헤라( 공작새) 와 제우스(독수리) 는 결혼해서 6자녀를 둠
1) 헤르메스 ; 도둑, 상업의 신 (제우스의 심부름꾼) - 페넬로페와의 사이에서 Pan 을 낳음
2) 헤파이스토스 ; 대장장이신 (비너스의 남편) - 헤라가 혼자 출생
3) 아테나 ; 전쟁신, 지혜신 - 제우스가 메티스를 삼켜버리고 머리에서 출생
4) 아레스 ; 전쟁신 ( 비너스가 사랑한 아도니스를 죽임) = Mars (화성) 의 두 위성 ; 포브스. 데이보스는 아들이름
5) 아폴로 ; 태양, 음악 - 제우스가 레토와 바람피워 낳은 쌍둥이중 하나
6) 아르테미스 ; 달,사냥,생리의 신 - 제우스가 레토와 바람피워 낳은 쌍둥이중 하나


7월의 영어 이름은 고대 라틴어인 Julius가 그 기원이다. 고대 로마의 달력에서는 March가 1년의 최초의 달이었고 July는 다섯 번째의 달이었다. 그 때의 제 5의 달은 Quinctilis이었다. 로마의 위대한 정치가 였던 시저(Julius Caeser)가 이 달에 태어났고, 그가 암살된 후에 그를 기념하기 위하여 이 달의 본래 이름인 Quinctilis란 말을 페지하고 그의 이름 Julius를 따서 Julius라고 불렀다. 이것이 Juㅣy로 된 것이다.

8월의 영어 이름은 로마의 초대 황제(제정 이후의 첫 황제) 아우구스투스 시저(Augustus Caesar)의 이름에서 비롯. 역시 그의 업적을 기원하기 위해서 이런 이름이 붙임. 또한, 황제의 이름을 붙인 8월의 달 수가 30일 밖에 되지 않자, 2월에서 하루를 가져와 8월에 넣기도 하였다. 그래서 7월과 8월이 연속으로 31일이 된 것(썰).   본래 August는 로마의 달력에서는 여섯번째의 달을 나타내는 Sextilis(제 6의 달)라고 불리었다. 그러나 Quinctilis(제 5의 달)가 시저의 이름에서 따온 Julius로 변해 버린 것처럼 Sextilist도 황제 Augustus의 이름에서 따온 Augustus로 변했다.
기원전 30년 8월에 알렉산드리아를 함락하고 권좌에 오르자 이를 기념하기 위해 8월을 August 로 원로원에서 정했다는 썰도 있다.


 9월이후는 각각 라틴어로 일곱~열을 의미하는 Septem, Octo, Novem, Decem에서 유래했습니다. 원래 일 년은 3월을 첫 시작으로 주기가 돌아갔답니다. 그래서 9월 ~ 12월은 각각 7번째 ~ 10번째 달이었지요. 그런데 일 년의 첫 달을 지금처럼 1월로 고치면서 9월 ~ 12월은 각각 9번째 ~ 12번째로 밀려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어원과 다른 이름이 붙여지게 되었답니다. 즉  본래 고대 로마 시대에서는 September(9월)가 7월이었다. 라틴 어 septem은 '7'의 뜻이다. 로마시대에는 지금의 3월(March) 이 정월이었고 September가 7월이었는데, 기원전 3세기경에 달력을 고쳐서 지금의 January를 정월로 고침으로써 3월은 March가 되었고 9월은 September가 되었다.

October도 September와 마찬가지로 2개월이 늦춰진 이름이다. 라틴어에서 octo는 '8'의 뜻이다. 이 달에는 어린이들에게 가장 즐거운 축제인 핼로인(Halloween)이 있다. 만성절(All saints' Day) 전날(10월 31일) 인 이 날에는 학교에서는 어린이들을 위한 전통적인 파티를 열고, 여러가지 특별한 놀이가 열린다. 밤에는 어린이들이 호박을 얼굴 모양으로 파서 등을 만들어 가장 행렬과 가장 무도회를 벌인다.


November의 이름도 September처럼 본래의 뜻보다 2개월이 늦은 것이다. 라틴 어에서Novem은 '9'를 나타낸다. 해마다 이 달의 넷째 목요일은 추수 감사절(Thanksgiving Day)이라 하여 미국과 캐나다에서 지내오는 가을 명절이다. 맨 먼저 미국에 건너온 사람들이 첫 추수를 기뻐하여 하느님께 감사를 드리기 위하여 시작한 행사이다.

December은 어원상으로 10월을 나타내지만, September처럼 2개월이 늦어져 12월이 되었다. 라틴어에서 Decem은 '10'을 의미한다. 이 달 25일은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을 기념하는 크리스마스(Christmas)가 있다. 이 날은 종교적인 행사가 벌어지며 사람들은 집 안에 크리스마스 트리나 성스러운 장식을 해 놓고, 카드나 선물을 교환하면서 이 날을 기념한다.

참고 출처: naver


'흘러가는 낙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우구스투스(2)  (0) 2018.12.19
아우구스투스 (1)  (0) 2018.12.19
내로남불의 전형 - 조선일보에서 펌  (0) 2018.12.13
이재수 전 기무사령과의 명복을 빌면서.  (0) 2018.12.10
무제  (0) 2018.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