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관용 기록집

[김문학 칼럼] 근대 한국어·중국어 중 단어 75%가 일본어다

김문학 일중한국제문화연구원장
  • 입력 2023.06.28 15:15
  • 수정 2023.06.28 17:19
다른 공유 찾기기사스크랩하기글씨크기인쇄하기
김문학 일중한국제문화연구원장

 

제목을 읽는 순간 많은 독자들은 고개를 갸우뚱할 것이다. 어찌 이런 일이 가능할까. 한국어, 중국어의 근대 단어 중 70%가 일본어라고?

 

좀더 분명히 말하면 근대 중국어, 한국어 중의 인문사회 관련 용어의 60-75%가 일본어에서 수입해온 것이다. 흔히 우리는 문명대국 중국이 (조선을 통해) 일본으로 문명을 전달, 전파했다는 인식에만 사로잡혀서 근대 100여년 전 문명의 우열이 역전된 점은 망각하기 일쑤다. 사실 근대의 단어, 명사들은 한자어의 형태로 일본에서 우선 새롭게 완성되고 다시 역으로 중국 대륙과 조선 반도에 수출됐다.

 

우리가 현재 아무렇지도 않게 사용하고 있는 한자어 단어는 중국에서 만든 것이 아니라 그 70%가 일본에서 만들어진 신명사, 신조어라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중화인민공화국'이란 고유명사에서 '중화'를 빼고 '인민' '공화국'도 모두 일본제 한자다. '사회주의'의 '사회' '주의'도, '개혁개방'의 '개혁' '개방'도 모두 일본인이 서양의 개념을 한자어로 만든 것이다.

 

왜 이런 단어가 일본에서 만들어졌으며 또 중국과 한국으로 수입됐을까.

백여년 전 청말시기 일본의 근대 문명, 문화가 중국과 조선에 전파될 무렵 많은 단어들이 줄지어서 홍수같이 밀려들어 정착됐다. 서양의 근대 문명, 사상, 의식은 일본인이 새롭게 제작한 명사, 단어로 번역됐다. 사상은 단어라는 매개물을 통해 그 의미가 표현되고 전달되는 법이다.

 

일본은 에도 시대로부터 메이지 시대에 이르기까지 많은 신한어를 고안해냈다. 이를테면 '과학' '진화' '경제' '자유' '철학' '물리' '조직' '국가' '국민' '권리' '민주주의' '공산주의' 등 서양 근대 개념과 의식을 담은 신한어다. 

청말 시기 물론 중국에서도 지식인들이 신조어를 고안해냈다. 이를테면 전화를 영어발음으로 '德律風', '진화'를 '天演'으로 했으며, 경제학을 '資生學'으로 양계초가 번역했고 철학은 '智學'으로, 물리학은 '格致學'으로 번역했지만 이런 식의 중국 고전에서 차용한 개념은 서양 의식을 표현하는 데 큰 한계를 안고 있었다.

 

그리하여 일본에 온 유학생, 혁명가, 지식 엘리트들은 일본인이 고안한 근대 신한어가 더 간단 명료하고 원뜻을 잘 표현했기에 이에 대해 애착을 느끼고 그 매력에 반하게 된다.

19세기 말 양계초가 요코하마에서 출판, 발행한 '청의보' '신민총보'도 중국인에게 서양의 신사상, 신개념을 전파하는데 직접 일본어의 신조어들을 대량적으로 사용했다.

 

홍수처럼 밀려오는 신사상을 기존의 중국단어로서는 도무지 감당할 수 없었기 때문에 신선한 일제 한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서양 신문명을 수용하기 위해 일본에서는 20만 개의 신식 한어를 만들었다. 영, 독, 불어를 번역하여 신조어를 양산해냈다. 조선과 중국의 지식인들은 이를 '신명사'라 칭했다. 당시 조, 중 지식인의 안구를 자극한 단어로 '혁명' '해방' '투쟁' '운동' '민주' '민족' '사상' '동지' '이론' '계급' '계획' '근대화' 등 다수가 있었다.

 

손문이 '혁명'이란 단어를 알게 된 것은 일본의 신문을 통해서였다. 당시 청국에서는 혁명을 흔히 '조반(造反)'이라 했는데 손문은 비서를 통해 이 말을 알고는 줄곧 '조반'을 집어치우고 '혁명'이란 용어를 썼다.

 

1911년 '보통백과신대사전'의 범례에 '우리나라의 신사(용어)는 태반이 일본에서 수입한 것이다'라고 기술하고 있다. 실제로 현재 중국과 한국 조선에서 사용하는 단어는 일상 용어에서 정치, 경제, 제도, 법률, 자연과학, 의학, 교육, 문화 등 용어에 이르기까지 일본어에서 온 단어가 수없이도 많다. 그것이 다 원래 중국어나 한국어인 줄로만 알고 있다. 일상 사용되고 있는 단어를 열거해 보자.

국제, 학교, 건축, 작용, 경찰, 공업, 의식, 이상, 전통, 영양, 도서관, 현실, 역사, 상식, 체조, 간부, 광장, 화학, 방송, 견습, 시장, 출구, 입구, 시장, 취소, 수속, 견습, 가치, 기차, 자동차, 낭만 등.

 

그리고 문학계의 '계', 신형·대형의 '형', 가능성·필요성의 '성', 호감·우월감의 '감', 혁명적·일시적의 '적', 상상력·생산력의 '력'도 그렇다. 그리고 표현 중에 '관하여' '인하여' '인정한다' '-보고 있다' 등도 일본어 표현이다.

 

중국사회과학원의 학자 이조충은 "금융, 투자, 추상 등 현대 중국어 중 사회과학에 관한 어휘의 60-70%는 일본어에서 왔다는 통계가 있다. 이런 일본어가 없었다면 현재 중국어는 어떻게 되었을까. 아마 강렬한 자극이나 영양가가 없어서 근대화할 수 없었을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근대 한국어도 일본어와 밀착돼 있었다. 근대 한국어는 75% 이상의 단어가 일본어에서 온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어학, 문법적 유사성, 접근성으로 인해 일본어가 그대로 한국어에 정착되는 것은 뻔한 일이었다. 한자어 외에도 일본어 그대로 한국어로 돼 있는데, 이를테면 '벤또' '리어카' '오야지' '앗싸리' 등 많다. 지명도 인명도 일본식이 많은데 여자 이름에 '자(子)'가 붙는 것이나 '웅(雄)'이 붙는 것도 일본식 이름에서 유래된다.

 

현대 한국어 속의 한자어가 75-77%가 일본어세 창안한 일본제 한자어임은 두말할 나위도 없거니와 한국어 속에 직접 일본어를 발음 그대로 사용되는 단어도 무척 많다.

예를 들어 보자. 가방, 난닝구, 마후라, 빤스, 에리, 오바, 잠바, 조끼, 곤색, 나베, 고로케, 당고, 돈까스, 모찌, 사라다, 사시미, 샤브샤브, 스시, 아나고, 앙꼬, 우동, 와사비, 짬뽕, 카레, 곳푸, 사라, 오봉, 다마, 도라이바, 밧데리, 카렌다, 아이롱, 구루마, 오토바이, 미싱, 리모컨, 오뎅, 콘센트, 히로뽕, 쓰나미, 가라오케, 오르골, 오니, 요이, 짱껜뽀, 오시, 시로, 니꾸, 노가다, 나라시, 뼁끼, 아시바, 야마, 와꾸, 인프라, 멕기, 기라성, 꼬붕, 오야붕, 삐끼, 시다바리, 야쿠자, 오야지, 사쿠라, 잉꼬, 맘모스, 미니앨범, 오타쿠, 키모이, 혼모노, 오카미, 곤조, 가오, 간지, 나와바리, 다시, 땡땡이, 데모, 쇼부, 아다라시, 왔다리갔다리, 찌라시, 쿠사리, 빵꾸 등.

 

방대한 원어 단어와 일본제 한자어가 현대 한국어 문화어의 77%로 된다는 것은 이미 일본어가 아니라 한국어의 골격과 혈액과 육체로 되었다는 점을 입증해준다.

인류사에서 문명이 전달되는 방식은 전쟁과 유학 그리고 식민지배 등 다양한 것들이 있었는데, 문명 전달 방식으로서 선진 문명에서 후진 문명으로의 흐름은 선악의 차원을 넘어선 곳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한국에 대한 일본의 근대화 지배는 한국인에게는 '악'이 아니라 축복받은 일이었다고 해야 한다.

단어가 사상, 의미를 담은 문화의 가장 중요한 형태로서, 만일 근대 일본 한자어의 수용이 없었다면 조선과 중국의 근대화도 없었을 것은 명약관화한 일이다 그리고 한국과 중국의 언어 문화를 풍요롭게 해준 점만 평가하더라도 일본의 한자어는 이미 한국어와 중국어로 용해, 정착되어 혈육이 되었다.

그것을 알량한 민족심으로 언어순화의 미명 하에 제거한다는 것은 행동 자체가 자기 살을 베어내는 것과 같은 우매한 짓이 아닐까.

 

한자어는 현대 국민의 교양의 바로미터로서 한자어를 모르고 배척한다면 스스로 우민화를 자초하는 자살행위다. 근대 국민으로 거듭나려면 한국인은 일본제 한자어를 그대로 한자로 표기하고 사용해야 함이 필수일 것이다. 이 점을 모든 한국인들이 인식했으면 좋겠다.

 

김문학 일중한국제문화연구원장(현 일본 거주)

 

 

[만물상] '대통령'은 어느 나라 말인가

입력 2019.07.10. 03:16
 
 

'일본어에서 온 우리말 사전'은 고려대 이한섭 명예교수가 1970년대부터 연구해 온 결과물을 집대성한 책이다. 1880년대 이후 우리말처럼 돼 버린 일본어 3634개 단어를 소개했다. 이 어휘들 중 90%가량은 우리말 발음으로 들어왔다. 교육, 가족, 국민 같은 단어들이다. 나머지는 일본어 발음으로 들어왔다. 모나카, 만땅, 무데뽀 같은 말이다. '마호병'처럼 일본어와 우리말이 결합한 말도 있다.

▶경기교육청이 관내 초·중·고교에 공문을 보내 일제 잔재를 청산하겠다며 '수학여행' '파이팅' '훈화' 같은 단어들도 일본에서 왔으므로 일제 잔재라고 했다. 학생들에게 "본인이 생각하는 일제 잔재의 개념은 무엇이고 어떻게 청산해야 하는가"라고 물었다. 이 문장에서도 '본인' '개념' '청산'은 일본에서 온 단어다. '단어'도 일본어다.

▶이재정 경기교육감은 대학에서 독어독문학을 전공하고 대학원에서 종교학과 신학을 공부해 박사를 땄다. 도이칠란트를 '독일'이라고 번역한 것도 일본인들이다. '대학' '대학원' '신학' '종교' '박사' 모두 일본에서 온 말이다. 국어·영어·수학은 물론 과학·철학·물리·역사·미술·음악·체육도 그렇다. 심지어 '대통령'이란 단어도 일본인들이 'president'를 그렇게 번역한 것이다.

▶일본은 1773년 네덜란드어로 쓴 의학서를 번역한 '해체신서'를 펴냈다. 일본 최초의 서양책 완역본이다. 이 책은 일본 지식인들에게 큰 충격을 줬고 번역과 사전 편찬에 대한 욕구를 분출시켰다. 메이지유신을 전후해 일본은 영일사전을 내놓았는데, 말 그대로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작업이었다. 'liberty'를 '자유(自由)'로, 'economy'를 '경제(經濟)'로 번역하는 일은 일본에 없던 관념을 만들어내는 일이었기 때문이다. 그 단어들이 개화기 이후 우리나라에 들어오기 시작했고 일제강점기 강제로 대량 유입됐다. 해방 후에도 일본인이 번역한 단어들은 계속 들어왔다. 나라를 세우려면 일본 서적을 참고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타이거 우즈가 나오는 골프공 광고에서 우즈는 "좋아요, 대박"이라고 말한다. 싸이 노래 덕분에 서양인들은 '강남'이 무슨 뜻인지 알게 됐다. 전 세계가 인터넷으로 실시간 교류하는 시대에 언어가 섞이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일이다. 좋은 우리말을 해치는 일본어와 일본식 표현은 걸러내야 한다. 그러나 완전히 한국화돼 일상에서 아무런 거부감 없이 쓰는 말들까지 '일제 잔재'라고 쓰지 말자면 어쩌자는 건가.

-----------------------------------------------------------------

 

- 페친 한찬욱님 글 -

수학 용어들은 화제한어(일제 신조어)인가? 아니면 화제신한어(중국제 신조어)인가?
수학을 배우면서 “함수” “미분” “적분” 같은 용어들이 나오는데 이 용어들이 어디서 나왔을가 하는 궁금중이 있지만 그 연원을 알려주는 글이나 책을 찾기 쉽지 않다.
흔히 근대화 시기에 일본이 서양 학문을 받아들이면서 새로 조어한 화제한어인 줄 생각한다.
과연 그럴까?
이러한 용어들 중 많은 것들이 중국 청말민초 수학자 이선란과 관계가 있다.
● 이선란
이선란[李善蘭1811 - 1882 ]은 저장성 항저우부 하이닝(海寧)현 출신으로 청나라 수학자, 천문학자, 물리학자, 식물학자, 교육자, 번역가 중국 근대 수학의 선구자이다. 그는 「서학동점(西學東點)의 집대성자」로 일컬어지고 있으며 《기하학원본(幾何學原本)》 후반 9권, F.W.허셸의 《담천(談天)》과, 프린키피아로 알려진 뉴턴의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 등 많은 영미의 과학서를 번역하였다.
● 이선란이 조어한 수학 번역어들
이선란의 번역 작업은 매우 독창적이었다. 그가 조어한 역어들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잇다.
대수代數, 상수常數, 변수變數, 기지수(已知數), 함수(函數), 계수(係數), 지수(指數), 급수(级數), 단항식(單項式), 다항식(多项線), 미분(微分), 횡축(橫軸) ·종축(縱軸)· 절선(切線) 법선(法線)· 곡선(曲線)·점근선(漸近線)· 상사(相似)、
그리고 세포(細胞)、화약(花萼)、자방(씨방子房)、배(胚) 및 과(科, 분류학에 사용))
이 역명들은 독창적이고 자연스레 부합하며, 그 중 많은 역명이 그의 역서와 함께 일본에 소개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 기타 수학 용어 중 화제신화어
대수代數、상수常數、변수變數、기지수已知數、함수函數、계수係數、지수指數、급수級數、다항식多項式、미분微分、횡축橫軸、절선切線、법선法線、곡선曲線、점근선漸近線、相似、원점原點、擺線、螺線、圓錐曲線、拋物線、雙曲線、積分、극한極限、곡률曲率、변성變星、질점質점點、실수質數、비례比例、비比、대수함수代數函數、초월함수超越函數、항項、이항식二項式、다항식多項式、展開、허수虛數、극대치極大值、극소치極小值、방정方程、방정식方程式、극대極大、극소極小、근根、方、무리수無理數、유리수有理數、무리식無理式、유리식有理式、單項式、第一項、분수식分數式、최대공약수最大公約數、허근虛根、실근實根、진수真數、이항移項、長軸、短徑、短軸、代數曲線、무한無限、편미분偏微分、전미분全微分、곡률반경曲率半徑、線微分、점點、선線、면面、體、題、해解、직선直線、곡선曲綫、平角、角、수선垂線、직각直角、예각銳角、둔각鈍角、평행선平行線、直線、삼각형三角形、、對角線、三角、면적面積、체적體積、相似、平方、立方、開方、乘方、通分、約分、交線、切線、內角、外角、等角、平角、直線角、對角、面、倍、度、切線、弦、三邊形、四邊形、多邊形、平面、等高、等角、垂直、相同、無窮、同心、奇數、偶數、割線、分數、一元方程式、일차방정식一次方程式、삼각함수三角函數、삼각방정식三角方程式、부등식不等式、中線、中點、、이항정리二項定理、二等分線、二次方程式、二等邊三角形、대수식代數式、假數、旁切圓、優角、優弧、內切形、內接形、內二等分線、全等形、八線、八線真數、公約數、公倍數、六線、六十分法、共幻數、共軛角、共軛弧、再乘、分數方程式、分離係數法、切面、
함수 개념의 역사를 잠깐 살펴보자.
● Function(함수)의 역사
이미 12세기에 이슬람 수학자 샤라프 알-딘 알-투시Sharaf al-Din al-Tusi는 방정식 x3 +d=bx2를 x2 (b-x)=d 형식으로 해석하여 방정식이 해를 가지려면 좌변이 d와 같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런 다음 그는 좌변의 최댓값을 구했다. 최대치가 d보다 작은 경우 양의 해가 없음을 의미한다. d와 같은 값이면 하나의 해, d보다 큰 값은 두 개의 양의 해를 가지게 된다. 이 방정식에 대한 알 투시의 해석은 이슬람 수학에서 주목할 만한 발전이었지만, 그의 연구는 당시 이슬람 세계나 유럽에서 더 이상 추구되지 않았다.
“함수 function"이라는 용어는 좌표나 곡선의 기울기와 같은 곡선의 점과 관련된 양을 설명하기 위해 Gottfried Leibniz가 1673년 편지에서 도입했다. 요한 베르누이Johann Bernoulli는 단일 변수로 구성된 표현식을 "함수functions."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1698년에 그는 "대수적이고 초월적인 방식으로" 형성된 모든 양을 x의 함수a function라고 부를 수 있다는 라이프니츠의 의견에 동의했다. 1718년이 되면, 그는 "하나의 변수와 몇몇 상수로 구성된 모든 표현식"을 함수로 간주하게 되었다. 클레로(Clairaut (1734년경)와 오일러Euler는 함수값에 대해서 친숙한 표기법 f(x)을 도입했다.

 

결국 결론은 우리나라는 그냥 중국과 일본의 근대 문물을 받아드린것.

하지만 발전 시켰으니 나름의 가치는 있었음.

제발 정당히 양심껏 선을 지키면서 삽시다.

근본을 무시하고 무조건 과거를 청산하면서

술 같은 국뽕에만 빠지지 말고. 

'보관용 기록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파리 올림픽  (0) 2024.07.29
김민기씨 소천  (0) 2024.07.22
일본 화폐  (0) 2024.07.19
천운의 트럼프  (0) 2024.07.16
세상의 중심은 나  (0) 2024.07.11